즐겨찾기 추가
기사제보
서울
-3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신청
1
ai
2
교육
3
ar
4
디자인
5
3D
6
IOT
7
딥러닝
8
인공지능
9
식품
10
항공
실시간 인기검색어
1
ai
2
교육
3
ar
4
디자인
5
3D
6
IOT
7
딥러닝
8
인공지능
9
식품
10
항공
기술
주요뉴스
약물 표면을 코팅해 약효의 지속력을 높...
0
30
블록체인을 이용해 온라인 시험 내 부정...
0
25
초음파 검사의 해상도를 높이는 마이크로...
0
30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 코팅...
0
32
기술이전
주요기사
연세대 이준상 교수팀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을 통한 진...
0
41
미래임상 융복합 학술연구 위한 공동연구 MOU ...
0
29
성균관대, 정보교육 네트워크 업무협약 체결
0
64
LINC3.0사업단, 공유·협업 위한 업무협약 체결
0
66
기술사업화
주요뉴스
국민대 일주기ICT연구센터, 우수한 연구성과 직접 사업화에...
0
98
고려대 3개 창업기업, ‘CES 2023’ 혁신상 수...
0
105
알지노믹스 “간암 임상 1·2상 계획 美 FDA 승...
0
64
피부질환의 재택치료 시대를 여는 플라즈마 패...
0
88
이미지 센서용 AI 반도체 리뷰 논문 국제 저명 ...
0
66
‘2022 공공연구성과 가치창출 기술키움’ 사업...
0
152
연구성과
주요뉴스
엑소좀 바이오마커의 식별과 분리 및 검출법 제시
0
29
췌장암 원인 규명 <네이처 캔서> 게재
0
36
인공지능으로 정확한 세포 이미지 분석하는 기...
0
37
치료불응성 췌장암에 대한 정밀 진단 및 최적 ...
0
4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합병성충수염 발생 차이 ...
0
49
핫이슈
주요뉴스
산학협력거점형플랫폼사업 Kick-off 미팅·컨설...
0
204
노지분야 스마트 농업 기술 단기 고도화 사업 ...
0
255
융합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사업 ‘최우수’
0
379
호서대에서 개발한 수중통신 기술, 국제표준으...
0
166
카드뉴스
주요뉴스
겨울철 눈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퍼 제어 기술
0
846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독거노인을 모니터링하는 스마...
0
759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차 오일 점검 장치 특허기술
0
704
동영상뉴스
약물 표면을 코팅해 약효의 지속력을 높이는 약물전달용 나...
0
30
블록체인을 이용해 온라인 시험 내 부정행위를 차단하는 시...
0
25
초음파 검사의 해상도를 높이는 마이크로버블 향상제 개발
0
30
약물 표면을 코팅해 약효의 지...
[한국기술뉴스] 서강대학교 화공생명학과 김...
블록체인을 이용해 온라인 시험...
[한국기술뉴스]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장주...
초음파 검사의 해상도를 높이는...
[한국기술뉴스] 서강대학교 화공생명학과 김...
뉴스레터 지난호
뉴스홈
>
검색결과
인기뉴스 검색결과
동향
‘헬스케어 바이오센서’에 대한 최근 전세계 연구 동향
[한국기술뉴스]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생명공학과 구만복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
나소영 기자
개발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병국 교수팀이 물리학과 김갑진 교수 연구팀 및 현대자동차와 공동연...
나소영 기자
개발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성균관대학교(총장 신동렬) 이동엽 교수 연구팀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개인맞춤형 마이크...
나소영 기자
검색결과 더보기
전체뉴스 검색결과
‘헬스케어 바이오센서’에 대한 최근 전세계 연구 동향
[한국기술뉴스]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생명공학과 구만복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Trends in Biotechnology)’에 리뷰 논문을 게재했다.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는 국제적 학술출판사 Cell Press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로, 초청받은 석학들이 해당 분야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
동향
나소영 기자
0
33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병국 교수팀이 물리학과 김갑진 교수 연구팀 및 현대자동차와 공동연구를 통해 자성메모리(Magnetic random-access memory, MRAM)를 기반으로 사람의 지문과 같이 매번 다른 패턴을 갖는 하드웨어 보안인증 원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박병국 교수 연구팀은 반...
개발
나소영 기자
0
45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성균관대학교(총장 신동렬) 이동엽 교수 연구팀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개인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디자인 기술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연구팀은 디지털 트윈 가상세포 모델과 오믹스/마이크로바이옴을 비롯한 빅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해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컴...
개발
나소영 기자
0
26
전체뉴스 더보기
동영상뉴스 검색결과
특허
더욱 빠르게 메시징을 전달하는 분산 클라우드 기반 메시징 서비스 개발
특허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신 위치 기반 무선전력 전송장치 개발
특허
태양광을 활용해 관수의 작동을 제어하는 IoT 기반 관수 자동화 장치 개발
검색결과 더보기
일반뉴스 검색결과
‘헬스케어 바이오센서’에 대한 최근 전세계 연구 동향
[한국기술뉴스]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생명공학과 구만복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Trends in Biotechnology)’에 리뷰 논문을 게재했다. ‘트렌드 인 바이오...
동향
나소영 기자
/
2023-01-04
스핀 소자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보안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병국 교수팀이 물리학과 김갑진 교수 연구팀 및 현대자동차와 공동연구를 통해 자성메모리(Magnetic random-access memory, MRAM)를 기반으로 사람의 지문...
개발
나소영 기자
/
2022-12-15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성균관대학교(총장 신동렬) 이동엽 교수 연구팀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개인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디자인 기술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연구팀은 ...
개발
나소영 기자
/
2022-12-12
일반뉴스 더보기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설문조사
전담조직의 업무범위는 어떠합니까?
지재권 관리 및 기술이전 업무
연구계약
연구비 및 과제 관리
인사, 급여, 구매, 회계 등 일반업무
기타
랭킹정보
1위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진상록 교수 연구팀은 수술용 보조기구를 자유롭고 정교하게 조작하는 탈부착형 복강경 수술도구를 개발했다. 개발된 기술은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을 통해 2018년 09월 12일 특허를 출원(출원번호 제1020180108768호)했다. 특허 명칭은 '탈부착형 로봇 수술 도...
스크랩
0
|
조회
84
2위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피부 이식술을 할 때 환자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수술 후 남는 흉터와 이식된 피부의 재생이다. 피부 이식술을 주도하는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봉합 후 흉터의 깊이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봉합 부위의 상처가 회복되는 데만 한 달이 넘게 걸리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홍...
스크랩
0
|
조회
90
3위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한국기술뉴스] 충남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정재욱 교수 연구팀이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를 개발했다. 개발된 기술은 충남대학교병원 산학협력단을 통해 2017년 7월 18일 특허를 출원(출원번호 제1020170090868호)했다. 특허 명칭은 'X자형 ...
스크랩
0
|
조회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