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나뭇잎의 표피 구조를 모사한 항상성 바이오센서 개발

등록일 2021년04월19일 13시3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기술뉴스] 고려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이성환 교수 연구팀은 ‘Leaf inspired homeostatic cellulose biosensors’ 논문에서 식물이 나뭇잎을 통해 수분 함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상성 시스템을 모방하여 인체의 피부 위에서 센서 스스로 안정적인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항상성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항상성
생명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대응해 내부 환경을 안정적이고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계의 특성

 

기존의 전기생리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기술들은 피부로부터 땀이나 분비물의 발생 같은 피부의 항상성 시스템을 고려하지 못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한 항상성 바이오센서 기술은 식물의 잎이 가뭄이나 장마와 같은 환경 변화에 맞추어 표피의 기공을 통해 식물 내부의 물 함유량을 스스로 조절하는 나뭇잎 항상성 시스템을 모방하여 개발됐다. 또한, 기존 기술은 항상성 센서 기술의 핵심 요소인 항상성 물질을 복잡한 합성 기술을 통해 개발했으나, 연구팀은 세포벽의 주 구성 물질인 셀룰로오스가 전해질을 흡수할 때 변화하는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인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셀룰로오스에 대한 새로운 항상성 물질로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항상성 바이오센서의 핵심 원리는 피부와 센서 표면 사이의 확산 기울기에 따른 확산 현상에 의해 피부의 상태 변화에 맞추어 센서 스스로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논문의 교신 저자인 이성환 고려대 교수는 “피부는 바이러스나 외부 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환경 변화에 따라 인체의 온도, 수분 함량 등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항상성의 중요한 기관”이라며 “연구팀의 항상성 바이오센서 기술은 피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통찰을 통해 피부과학적인 접근으로 피부의 건강을 지키면서 사람의 의도가 담긴 전기생리학적 신호들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기술”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비침습적 바이오센서 기술들은 피부의 항상성 시스템을 고려하지 못하여, 장시간 부착 시 불안정한 측정 성능 및 접촉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반응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번 연구는 앞으로 바이오센서 기술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기술이 될 수 있는데, 아직 많은 실험과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지만, 바이오센서 기술이 생체안전성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는 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항상성 바이오센서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결합은 생체 신호를 활용한 응용 시스템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미국 현지시간 기준 4월 16일 게재됐다.

지영광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특허 기술이전 기술사업 연구성과

포토뉴스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