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농생명공학부 유경록 교수 등 국제연구팀, 클론성 조혈작용 대동물 모델 확립

클론성 조혈작용 조절을 통해 각종 질병 예방 및 극복 방안으로 활용

등록일 2022년07월19일 10시56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기술뉴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혈액세포 내에 특정 돌연변이가 축적되는 ‘클론성 조혈작용’은 특별한 질병이 없는 정상인에서도 확인되는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클론성 조혈작용과 혈액암,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보고되고 있지만, 클론성 조혈작용이 질병으로 분류되지 않으므로 임상 샘플 확보가 쉽지 않아 기전 연구의 한계를 겪고 있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 유경록 교수(공동 교신저자)와 미국 국립보건원, 제주대학교 등 연구진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대동물인 영장류를 이용해 클론성 조혈작용을 나타내는 모델을 확립하였다.

 

영장류 클론성 조혈작용 모델은 인간과 매우 유사하게 혈액 내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보였으며, 골수 내에서도 세포과밀증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보였다.

 

본 연구진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IL-6를 억제하는 약물(tocilizumab)을 영장류 모델에 주입하여 클론성 조혈작용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클론성 조혈작용 조절을 통해 각종 질병 예방 및 극복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혈액학 분야 최고 국제 학술지 ‘블러드 (Blood)’ 온라인판에 2022년 6월 17일자 게재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립보건원과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1) 최초로 영장류 클론성 조혈작용 모델을 확립하였다는 것, 2) TET2 돌연변이 특이적 클론성 조혈작용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 약물을 이용한 클론성 조혈작용 억제가 가능하다는 것, 이를 통해 관련 질병 치료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혈액세포 내에 특정 돌연변이가 축적되는 ‘클론성 조혈작용’은 특별한 질병이 없는 정상인에서도 확인되는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클론성 조혈작용과 혈액암,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보고되고 있지만, 클론성 조혈작용이 질병으로 분류되지 않으므로 임상 샘플 확보가 쉽지 않아 기전 연구의 한계를 겪고 있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전공 유경록 교수(공동 교신저자)와 미국립보건원, 제주대학교 등 연구진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대동물인 영장류를 이용해 클론성 조혈작용을 나타내는 모델을 확립하였다. 영장류 클론성 조혈작용 모델은 인간과 매우 유사하게 혈액 내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보였으며, 골수 내에서도 세포과밀증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보였다. 또한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IL-6를 억제하는 약물(tocilizumab)을 모델에 주입하여 클론성 조혈작용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클론성 조혈작용 조절을 통해 각종 질병 예방 및 극복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지영광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특허 기술이전 기술사업 연구성과

포토뉴스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